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i Seoul

덤프버전 :

||
공개2002년
폐지2015년

1. 개요
2. 상세
2.1. Soul of Asia
3. 교체
4. 기타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사용된 서울특별시의 브랜드. 다만 실질적으로는 2012년 폐지되고 '함께서울', '희망서울' 등의 시정 슬로건으로 바뀐 상태였다. 2012년 이전까지 개인택시들은 택시등에 많이 붙여 다니고 있었고 서울개인택시사업자조합의 부제 표시에도 하이서울이 들어가 있었다. 2015년부터 I·SEOUL·U로 브랜드가 바뀌었다.

2. 상세[편집]


2002년 이명박 전 시장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단순 홍보용 뿐만 아니라 각종 행사의 행사명 등에도 포함되어 두루 사용되었다. 박원순 전 시장이 만든 I·SEOUL·U 이후로 Hi Seoul 슬로건이 재평가받고 있다. 물론 이것도 직역하면 '안녕 서울'인 의미도 감동도 없는 브랜드로 혹평도 만만치않다. 영어권 사람들에겐 문맥적으로 매우 어색하기까지 하다.


2.1. Soul of Asia[편집]


||
[ 펼치기 · 접기 ]


오세훈 시정 1기 시절인 2006년 Soul of Asia라는 서브 슬로건을 추가하여 Seoul을 자연스럽게 연상시킬 수 있도록 배치하여 호평을 받았고, 10년 넘게 지속적으로 해외 홍보 및 마케팅에 사용하여 서울의 브랜드로 가치를 만들었다.


3. 교체[편집]


2006년 중국 국무원 산하 방송과 영화산업 등을 총괄하는 부처인 광전총국에서 왜 서울이 아시아의 영혼이냐고 서울특별시에 항의를 하였고, Soul of Asia의 중국 내 사용허가를 내주지 않아 중국내 관광 마케팅에 사용할 수 없었다. 중국인 관광객 유치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박원순 시장은 결국 Hi Seoul 브랜드를 포기했었고 한동안 서울시 대표 브랜드로 시정 슬로건인 함께서울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2015년 새로운 브랜드인 I·SEOUL·U로 변경되었다.


4. 기타[편집]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10:20:56에 나무위키 Hi Seoul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